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설 연휴 문 여는 병원

by allroundinfo 2025. 1. 23.
반응형

 

127일까지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올해 구정 연휴는 최소 6일에서 최대 9일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긴 연휴 기간 동안 문 여는 병원과 약국은 어디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설-연휴-문-여는-병원
설-연휴-문-여는-병원

 

1. 서울시가 발표한 설 연휴 문 여는 병원과 약국

설 연휴 기간 49곳의 응급의료기관과 21곳의 응급실 운영 병원을 포함하여 총 70곳의 응급의료기관이 24시간 운영하게 됩니다.

 

·의원과 약국은 작년 설과 비교하여 하루 평균 약 300곳이 늘어난 17백여 곳(·의원 7, 약국 1)이 운영하는데 연휴 기간 동안 총 13천여 곳이 문을 엽니다.

 

만약 갑자기 아이가 아프다면 24시간 운영하는 우리아이 안심병원(8)’우리아이 전문응급센터(3)’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설 연휴 기간 동안 운영하는 병원과 약국, 응급실에 대한 정보는 서울시 ‘2025 설 연휴 종합정보 사이트’, 응급의료포털, 25개구 홈페이지와 응급의료 정보제공 앱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전화로 문의를 원할 경우 120 다산콜센터, 119로 전화하면 됩니다.

 

 

2. 설 연휴 진료받을 수 있는 병원 리스트

설 연휴 기간 동안 24시간 진료받을 수 있는 병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진료-병원
진료-병원

 

 

3. 응급의료기관 종류

응급실 운영 병원은 일반 병원 중 응급실을 운영하며, 소규모 응급환자의 치료 및 기본 응급 처치가 가능합니다.

 

지역응급의료기관은 경증 응급환자 위주의 응급 처치를 담당하며 중증의 경우 권역 또는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합니다.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지역 내 중증 및 경증 응급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으로, 필요한 경우 권역응급의료센터로 환자를 이송합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중증 응급 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곳으로 대학병원의 응급센터가 권역응급의료센터인 경우가 많습니다.

 

소아환자의 경우 우리아이 안심병원은 연휴 기간에도 평소처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이며, ‘우리아이 전문응급센터는 응급상황에 처한 소아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응급센터를 의미합니다.

소아-병원
소아-병원

 

 

 

[Q&A] 연휴 기간 동안 식중독으로 인한 탈수증세를 보인다면 응급의료기관 중 어느 곳을 방문해야 할까요?

만약 증세가 경미하다면 가까운 일반 응급실이나 지역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처치 받으면 됩니다. 하지만 지속적인 설사와 심각한 탈수증세를 보인다면 지역응급의료센터나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